투자63 Book Value, BPS (Book Value Per Share) 와 PBR (Price-to-Book Value Ratio) 회계학 교과서나 주식 투자 관련 책을 읽어보면, 'Book Value'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나는 '장부 가치' 정도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주식 투자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Book Value와 그와 관련된 중요한 지표인 BPS와 PBR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BPS와 PBR은 지난 글에서 다룬 EPS (Earning Per Share)와 PER (Price Earning Ratio)와 비슷하게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핵심 지표이니,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 주식 투자에 활용하자. Book Value (장부 가치, 순자산) Book Value는 기업의 재산이나 자산을 회계 원리에 따라 평가한 가치를 말한다. 기본적으로, 장부상 기업의 자.. 2023. 6. 9. 나의 페이팔 주식 투자 이야기 (Paypal) 지난번 포스팅에서 나의 애플 주식 투자 경험을 되돌아보며 애플을 재무제표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는데, 앞으로 내가 보유한 여러 주식들에 관한 포스팅을 하면서 내가 서툴렀던 점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애플이 내게 수익을 남겨준 몇 안 되는 종목 중 하나였다면, 페이팔은 현재 나에게 가장 큰 손실액을 안겨준 종목이다. 이번 글에서는 나의 페이팔 투자 이야기를 다루도록 하겠다. 페이팔 투자 계기 코로나가 한창인 2020년, 미국에서 소액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했을 때 내가 들었던 조언 중 하나는 바로 일상 속에서 소비하는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 투자하라는 것이었다. 그중 하나가 온라인 거래 서비스 페이팔 (Paypal)이었다. 미국에서 생활한 지 거의 10년 차인 나는 페이팔을 사용하는 것에 이미 익숙해져 있었다.. 2023. 6. 1. 유보율과 부채비율을 활용한 회사 안정성 분석 주가가 높이 오를 것이라는 희망을 안고 힘들게 벌고 모은 돈을 투자한다면, 이 회사가 어느 정도 안전한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 주식 투자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로서, 부끄럽게도 이제까지는 회사의 브랜드네임이나 나의 주관적인 인상에 의존하여 회사가 안전한지 판단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가령, '이 회사는 절대 안 망하겠지!' 하는 생각으로 덜컥 투자한 경우가 많다. 물론 이 방식으로 아직 망하거나 상장 폐지된 회사는 없었지만, 회사의 평판에 관계없이 투자하는 시점에서 그 회사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객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지표는 유보율 (Reserve Ratio) 와 부채 비율 (Debt Ratio)이다. 유보율 기초 개념 유보율 계산 공식부터 간단히 말하.. 2023. 5. 31. 헷갈리는 수익성 지표, ROI/ROA/ROE 주식 투자 공부를 하다 보면 비슷한 용어들과 지표들이 굉장히 많이 등장한다. 가령, ROI/ROA/ROE처럼 한 글자만 차이나는 영문 지표들이다. 각각 약자를 풀자면 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수익), Return on Asset (자산 대비 수익), Return on Equity (자본 대비 수익)이다. 주식 투자자로서 기업의 수익성을 이해하기 위해, ROI/ROA/ROE와 같은 지표를 많이 참고한다. 오늘은 이 세 가지의 차이와, 앞으로 내가 투자할 기업의 재무제표 분석 시 활용하고자 하는 ROE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주식 초보를 위한 ROI/ROA/ROE 의 뜻과 차이 이 전의 포스팅에서, Asset (자산) = Equity (자본) + Debt (부채) 임.. 2023. 5. 27. 초보 주식 투자자를 위한 분산 투자와 펀드 기본 개념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했을 때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들은 조언은 분산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는 주식에 소위 ‘몰빵’을 하면 실제로 수익이 날 때는 큰 이익을 볼 수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나는 재무제표도 잘 읽지 못하는 초보 주식 투자자로서는 여러 가지 다른 좋은 주식들을 매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글에서 나와 같은 초보 주식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와, 분산투자를 시작하기 가장 쉬운 방법인 펀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도록 하겠다. 초보 주식 투자자가 분산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내가 2020년에 처음 미국에서 주식 투자를 시작했을 때, 로빈후드 (Robinhood)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2023. 5. 21. 애플 주식과 나의 2020년-2023년 투자분석 2020년 주식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산 주식 중 하나는 다름 아닌 애플이었다. 이후 거의 무작위 수준으로 주식을 이것저것 모아서 현재 20가지가 넘는 주식을 가지고 있다. 슬프게도 대부분의 주식에서 손해를 보고 있지만, 애플은 감사하게도 2023년 5월 19일 현재 17% 의 수익을 내주고 있다. (참고로 나는 아직 주식 매도를 한 적이 거의 없다). 이제까지 배웠던 개념을 애플에 대입하면서, 나의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투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애플 주식을 산 이유와 매수 패턴 내가 애플 주식을 처음 매수한 시점은 코로나가 막 시작한 2020년 6월이었다. 당시 나는 미국의 로빈후드 (Robinhood)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식을 시작했다. 코로나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에서 보내는 시.. 2023. 5. 19.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