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63

배당금의 정의, 유형, 그리고 주식 투자 전략 얼마 전 베테랑 개인 주식 투자자분과 이야기 하면서, 배당금을 많이 주는 주식은 마치 월세가 따박따박 나오는 건물을 가지는 것과 비슷하다는 말씀을 들었다. 약 3년간 주식 투자를 해오면서 배당금에 크게 관심 가져 본 적이 없었다. 그저 매년 세금 보고를 할 때, 증권사 보고서를 들여다 보고 배당금이 일 년간 몇십만 원 정도 나온 것을 확인할 뿐이었다. 아직 기업 분석에 미숙한 나로서,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꾸준히 주는 기업을 알아볼 계획이다. 나와 같은 초보 주식 투자자들은 배당금에 관한 기초적인 정의, 유형, 그리고 주식 투자 전략을 알아두자. 배당금의 정의 배당금이란 무엇인가? 배당금은 투자의 세계에서 근본적인 개념이다. 기업이 이익을 창출할 때, 그 이익의 일부를 배당의 형태로 주주들에게 분배할 수 .. 2023. 5. 18.
EPS (주당순이익) 와 PER (주가수익비율)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표들이 나와서 벅찰 때가 많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EPS (주당순이익)와 PER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평가에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이다. 이 둘은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투자자들이 기업 주식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당순이익 (EPS) 이란?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이며,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며 회사의 수익성의 척도이다. 참고로, 주식 투자를 할때 이익은 영문으로 Profit이라고 하기도 하고, Earning이라는 말을 많이 쓰기도 하니 Profit과 Earning 둘 다 이익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EPS는 회사의 순이익을 보통주의 미지급 주식으로 .. 2023. 5. 13.
자산, 자본, 그리고 부채의 차이 나는 주식 공부를 할 때 영문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에는 자산 (Asset), 자본 (Equity), 그리고 부채 (Debt)에 관한 개념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직관적으로 부채라는 것이 자산의 일부라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부채는 빚, 빚은 많으면 나쁜 것, 반대로 자산은 많으면 좋은 것이라고 느껴져서 그랬던 것이다. 하지만 회계상의 자산, 자본, 그리고 부채를 분석하는 것은 주식 투자자로서 기업을 평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자산, 자본, 부채의 기본 개념 자산은 회계상으로 회사가 가진 경제적 가치가 재산을 일컫는 것이다. 자산은 부동산, 장비 또는 재고와 같은 유형이거나 지적 재산, 특허 또는 상표와 같은 무형일 수 있다. 자산은 미래의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2023.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