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

S&P 500 지표와 나의 투자 경험 (SPY, VOO, SPYD, NOBL) 초보 주식 투자자로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기 시작한지 3년정도 되어간다. 나의 경험 및 주변의 조언과 공부를 한 결과, 이전의 포스팅에서 다루었듯이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처음에는 내가 직접 분산화 하려 했지만, 어째서인지 종목수는 너무 많아지고 제대로 된 재무제표 분석조차 힘든 나로서는 수많은 기업들을 조사하고 투자하는 것이 버거워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는 늘 들어왔던 S&P 500과 관련된 ETF를 꾸준히 매수하기 시작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P 500 지표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나의 S&P 500 관련 ETF 투자 경험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S&P 500 지표와 ETF 투자 장점 S&P 500은 미국의 Standard and Poor's라는 기관에서 선정하는 미국에 상장된 500개 .. 2023. 5. 25.
초보 주식 투자자를 위한 분산 투자와 펀드 기본 개념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했을 때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들은 조언은 분산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는 주식에 소위 ‘몰빵’을 하면 실제로 수익이 날 때는 큰 이익을 볼 수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나는 재무제표도 잘 읽지 못하는 초보 주식 투자자로서는 여러 가지 다른 좋은 주식들을 매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글에서 나와 같은 초보 주식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와, 분산투자를 시작하기 가장 쉬운 방법인 펀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도록 하겠다. 초보 주식 투자자가 분산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내가 2020년에 처음 미국에서 주식 투자를 시작했을 때, 로빈후드 (Robinhood)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2023. 5. 21.
애플 주식과 나의 2020년-2023년 투자분석 2020년 주식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산 주식 중 하나는 다름 아닌 애플이었다. 이후 거의 무작위 수준으로 주식을 이것저것 모아서 현재 20가지가 넘는 주식을 가지고 있다. 슬프게도 대부분의 주식에서 손해를 보고 있지만, 애플은 감사하게도 2023년 5월 19일 현재 17% 의 수익을 내주고 있다. (참고로 나는 아직 주식 매도를 한 적이 거의 없다). 이제까지 배웠던 개념을 애플에 대입하면서, 나의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투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애플 주식을 산 이유와 매수 패턴 내가 애플 주식을 처음 매수한 시점은 코로나가 막 시작한 2020년 6월이었다. 당시 나는 미국의 로빈후드 (Robinhood)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주식을 시작했다. 코로나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에서 보내는 시.. 2023. 5. 19.
배당금의 정의, 유형, 그리고 주식 투자 전략 얼마 전 베테랑 개인 주식 투자자분과 이야기 하면서, 배당금을 많이 주는 주식은 마치 월세가 따박따박 나오는 건물을 가지는 것과 비슷하다는 말씀을 들었다. 약 3년간 주식 투자를 해오면서 배당금에 크게 관심 가져 본 적이 없었다. 그저 매년 세금 보고를 할 때, 증권사 보고서를 들여다 보고 배당금이 일 년간 몇십만 원 정도 나온 것을 확인할 뿐이었다. 아직 기업 분석에 미숙한 나로서,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꾸준히 주는 기업을 알아볼 계획이다. 나와 같은 초보 주식 투자자들은 배당금에 관한 기초적인 정의, 유형, 그리고 주식 투자 전략을 알아두자. 배당금의 정의 배당금이란 무엇인가? 배당금은 투자의 세계에서 근본적인 개념이다. 기업이 이익을 창출할 때, 그 이익의 일부를 배당의 형태로 주주들에게 분배할 수 .. 2023. 5. 18.
EPS (주당순이익) 와 PER (주가수익비율)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표들이 나와서 벅찰 때가 많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EPS (주당순이익)와 PER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평가에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이다. 이 둘은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투자자들이 기업 주식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당순이익 (EPS) 이란?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이며,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며 회사의 수익성의 척도이다. 참고로, 주식 투자를 할때 이익은 영문으로 Profit이라고 하기도 하고, Earning이라는 말을 많이 쓰기도 하니 Profit과 Earning 둘 다 이익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EPS는 회사의 순이익을 보통주의 미지급 주식으로 .. 2023. 5. 13.
자산, 자본, 그리고 부채의 차이 나는 주식 공부를 할 때 영문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에는 자산 (Asset), 자본 (Equity), 그리고 부채 (Debt)에 관한 개념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직관적으로 부채라는 것이 자산의 일부라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부채는 빚, 빚은 많으면 나쁜 것, 반대로 자산은 많으면 좋은 것이라고 느껴져서 그랬던 것이다. 하지만 회계상의 자산, 자본, 그리고 부채를 분석하는 것은 주식 투자자로서 기업을 평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자산, 자본, 부채의 기본 개념 자산은 회계상으로 회사가 가진 경제적 가치가 재산을 일컫는 것이다. 자산은 부동산, 장비 또는 재고와 같은 유형이거나 지적 재산, 특허 또는 상표와 같은 무형일 수 있다. 자산은 미래의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2023. 5. 12.